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사무엘(하) 시리즈 5편-밧세바 사건과 회개, 실수 속에서도 은혜를 허락하신 하나님

by bookiki 2025. 4. 18.

왕도 죄를 피하지 못했습니다. 다윗은 유혹 앞에 무너지고, 그 죄를 숨기기 위해 더 큰 죄를 짓습니다.

하지만 하나님은 그를 포기하지 않으셨습니다.

회개의 눈물과 하나님의 은혜가 교차하는 다윗의 이야기를 함께 따라가 봅니다.


회개하며 엎드린 다윗의 모습. 햇살이 비추는 방 안에서 왕복을 벗고 기도하는 장면.
왕의 권위를 내려놓고 회개하는 다윗의 모습은, 인간의 연약함 속에서도 하나님의 은혜를 구하는 믿음의 태도를 보여줍니다.

 

궁전에서 벌어진 유혹, 그리고 죄의 시작

사무엘하 11장은 왕들의 전쟁 시기, 다윗이 전장에 나가지 않고 예루살렘에 머무는 장면으로 시작됩니다.

하루 저녁, 왕궁 옥상에서 그는 목욕하는 여인을 보게 됩니다.

그녀는 밧세바, 충직한 장수 우리아의 아내였습니다.

다윗은 그녀를 왕궁으로 들여 동침하고, 밧세바는 임신하게 됩니다.

다윗은 자신의 죄를 감추기 위해 우리아를 전장에서 불러들이지만,

우리아는 전우들과 함께하지 않는 것을 부끄럽게 여겨 집으로 돌아가지 않습니다.

 

"...언약궤와 이스라엘과 유다가 야영 중에 있고, 내 주 요압과 부하들이 바깥 들에 진 치고 있거늘 내가 어찌 집으로 가서 먹고 마시고 내 처와 같이 자리이까" (사무엘하 11장 11절)

 

다윗은 결국 요압에게 편지를 써 우리아를 전투의 최전방에 두게 하고, 그를 죽게 만듭니다.

이 편지는 아이러니하게도 우리아 자신의 손에 들려 전달되었습니다.

 

하나님의 선지자, 나단의 이야기

하나님은 다윗의 죄를 외면하지 않으셨습니다. 선지자 나단을 보내어 한 이야기를 들려주십니다.

한 부자가 가난한 자의 하나뿐인 어린 암양을 빼앗아 손님을 대접한 이야기입니다.

그 이야기에 격분한 다윗은 외칩니다.

"...그 사람은 마땅히 죽을 자라" (사무엘하 12장 5절)

 

그때 나단은 조용히 말합니다.

"...당신이 그 사람이라..." (사무엘하 12장 7절)

 

그 순간 다윗의 내면은 무너져 내렸습니다.

왕으로서의 체면도, 위엄도 사라지고, 오직 죄인으로서의 고백만이 남았습니다.

"...내가 여호와께 죄를 범하였노라..." (사무엘하 12장 13절)

 

다윗의 회개는 단순히 잘못을 인정하는 차원을 넘어, 하나님과의 관계 회복을 바라는 간절함으로 가득했습니다.

그는 자신의 죄가 사람에게만이 아니라, 하나님께 대한 반역임을 깊이 자각했습니다.

왕으로서의 권위를 내려놓고, 한 인간으로서 무너진 심령으로 하나님 앞에 엎드립니다.

 

다윗은 하나님께 은혜를 구하며 이렇게 고백합니다.

“정한 마음을 내게 창조하시고, 정직한 영을 새롭게 하소서.”

이 말씀에서 우리는 다윗이 단순히 과거를 후회하는 것이 아니라, 앞으로 다시는 동일한 죄를 반복하지 않기 위한 **마음의 변화**를 구하고 있음을 볼 수 있습니다.

 

그는 이어 말합니다. “주의 성령을 내게서 거두지 마시고, 주의 구원의 즐거움을 내게 회복시켜 주소서.” 죄로 인해 끊어진 것처럼 느껴지는 하나님과의 관계, 그 안에서 다시금 하나님의 임재를 회복하고 싶다는 다윗의 간절함이 절절히 묻어납니다.

 

다윗의 진심 어린 회개 – 시편 51편

다윗은 단순히 말로만 회개하지 않았습니다.

그는 마음 깊은 곳에서부터 무너졌습니다. 그의 고백은 시편 51편에 고스란히 담겨 있습니다.

"하나님이여 주의 인자를 따라 내게 은혜를 베푸시며 주의 많은 긍휼을 따라 내 죄악을 지워 주소서" (시편 51편 1절)
"하나님께서 구하시는 제사는 상한 심령이라 하나님이여 상하고 통회하는 마음을 주께서 멸시하지 아니하시리이다" (시편 51편 17절) 

 

이 시는 단지 과거의 사건에 대한 후회가 아닙니다.

자신의 교만함과 죄의 본성을 철저히 깨달은 한 왕의 고백이며, 우리 모두의 기도가 될 수 있는 참된 회개의 시입니다.

 

죽음 이후의 은혜 – 솔로몬의 탄생

하나님은 죄에 대해 징계하셨습니다.

밧세바와 다윗 사이에 태어난 아이는 병들어 죽었습니다. 하지만 그 이후, 하나님은 다시 은혜를 허락하십니다.

"다윗이 그의 아내 밧세바를 위로하고 그에게 들어가 그녀와 동침하였더니 그가 아들을 낳으매 그의 이름을 솔로몬이라 하니라 여호와께서 그를 사랑하사… 여디디야라 하시니..." (사무엘하 12장 24–25절)

 

이 아기가 훗날 이스라엘의 왕이 되고, 성전을 건축하게 될 솔로몬입니다. 하나님의 은혜는, 우리가 가장 어두운 순간에도 다시 피어날 수 있는 씨앗으로 역사합니다.